자생 엉겅퀴 잎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Extract

 

 


 

 

 

 

1. 일반성분

 

자생 엉겅퀴 잎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1과 같았다.

엉겅퀴 잎의 수분함량은 11.73%,

조회분의 함량은 13.43% ,

조단백질의 함량은 12.42%,

조지방의 함량은 7.87%,

탄수화물의 함량은 54.55%였다.

 

 

식품성분표에 나와있는 엉겅퀴의 경우

수분함량 10.60%,

조회분 함량 11.1%,

조단백질 함량 20.50%,

조지방 함량 3.9%와 비교하여

조단백질의 함량이

식품성분표에 비하여 적게 측정이 되었다.

 

 

이는 식품성분표에 나와 있는 성분표는

자생 엉겅퀴의 꽃, , 줄기, 뿌리 등

엉겅퀴 전체의 일반성분 함량을

측정한 것이기 때문에

자생 엉겅퀴 잎만을 이용해 측정한

본 실험 데이터와

약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1. Approximate composition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Items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Moisture

11.73±0.10

Crude

protein

12.42±0.28

Crude lipid

7.87±0.42

Crude ash

13.43±1.17

Carbohydrate

54.55±1.98

 

 

 

 

 

2. 추출 수율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

추출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Fig. 1과 같았다.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엉겅퀴의 추출수율은 15.73%이었다.

   

 

Extraction yield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Fig. 1. Extraction yield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3. 총 페놀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폴리페놀화합물은

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분자내의 phenolic hydroxy기는

산화촉진제인 금속 또는 지질 래디칼, 효소단백질과

같은 거대 분자들과 결합하는 성질을 갖고 있어,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항균, 항암 등의

여러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참고문헌

Husain SR 1987,

Takahara U 1985, Jang JH 등 2007,

Woo HS 2003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Fig. 2와 같았다.

 

 

자생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화합물 함량은

0.1 mg/mL의 농도에서

20.63%(206.3 mg/g) 이었다.

 

 

자생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0.1 mg/mL의 농도에서

30.34%(303.4 mg/g) 이었다.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 methanol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Fig. 2.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 methanol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8)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측정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측정은

Marcocci L 등(1994)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용액 1 mL (0.1 mg/mL, 0.5 mg/mL 및 1.0 mg/mL),

80% ethanol 0.8 ml,

2 mM FeCl2⦁4H2O [iron(II) chloride tetrahydrate; 220299, Sigma, St. Louis, MO, USA]

용액 0.1 mL를 넣은 후

3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5 mM ferrozine [3-(2-pyridyl)-5, 6-diphenyl-1, 2, 4-triazine-4', 4''-disulfonic acid; P5338, Sigma]

용액 0.1 mL를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으며,

56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chelating 효과는

아래의 수식에 따라 산출한 후,

대조구로는 대표적인 chelating agent인

EDTA(0.1 mg/mL)를 사용하였다.

 

 

Chelating activity (%) = ( 1-A / B ) × 100


 A: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B: 용매 첨가군의 흡광도


 


 

(9) 통계 처리


 실험결과는 SAS package(release 8.01)를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평균값의 통계적 유의성은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SAS 1990)에 의해

검정하였다.



 

 

(6)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아질산염(NaNO2) 소거능은

Gray JI & Dugan LR(1975)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1 mM NaNO2 용액 2 mL에

시료용액(1 mg/mL) 1 mL를 가하고

0.1 N HCl(pH 1.2), 0.2 M 구연산완충액(pH 3.0 및 pH 6.0)으로

각각 pH 1.2, 3.0 및 6.0으로 조정한 후

반응액을 10 mL로 하였다.

 

이 용액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각 반응액을 1 mL씩 취하여

2% 초산용액 5 mL와 Griess 시약

(30% 초산용액에 1% sulfanilic acid 와 1% naphthylamine을 1:1 비율로 혼합한 것)

0.4 mL을 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15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3반복 측정하여

아질산량을 구하였다.

 

 대조구는 Griess시약 대신

증류수를 0.4 mL 가하여 동일하게 행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시료를 첨가한 경우와

무첨가한 경우의 아질산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N : 아질산염 소거능

               A : 1 mM NaNO2 용액에 시료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후의 흡광도                        

               B : 1 mM NaNO2 용액에 시료 대신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후의 흡광도  

               C : 시료 추출물 자체의 흡광도


 


 

(7) SOD(supeoxide dismutase) 유사활성능 측정


 SOD 유사활성능은

Marklund S & Marklund G(1974)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일정농도의 시료용액

(0.5 mg/mL, 1.0 mg/mL 및 2.0 mg/mL) 0.4 mL에

pH 8.5로 보정한

tris-HCl buffer(50 mM tris + 10 mM EDTA) 5.2 mL와

7.2 mM pyrogallol(containing 10 mM HCl) 0.4 mL 가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1 N HCl 용액 0.2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여과지(Whatman No. 1)로 여과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능은

아래의 식으로부터 구하였다.


         

   

       

           A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   

           B : 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단, A, B는 대조구의 흡광도를 제외한 수치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