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총 페놀 화합물 함량 측정


 총 페놀화합물 함량(Kim DO 등 2003)은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가

추출물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원리로 분석하였다.


400 μl 추출액에

2%  sodium carbonate 용액 4ml를 가하고

정확히 3분 후에 Folin Ciocalteu’s phenol reagent 를

200 μl를 가하고 60분 방치한 후

750 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 tannic acid를 사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표준곡선 작성에 이용한 tannic acid의 농도는

25, 50, 100 μg/ml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시료 g중의 mg tannic acid로 나타내었다.


 


(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Kang YH 등 1996)은

시료용액(200 μg/mL) 1 mL와

diethylene glycol 10 mL를 혼합하고

 여기에 1 N NaOH용액 1 mL 가하여

잘 혼합한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검량곡선은

quercetin(Sigma Co., St. Louis, USA)을 사용하여 작성하였으며,

표준곡선 작성에 이용한 quercetin의 농도는

50, 100, 150 및 200 μg/mL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료 g중의 mg quercetin으로 나타내었다. 


 


 

(5)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측정


 시료 추출물들에 대한 비효소계 시스템에서의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고자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을 검색하였다.

전자공여능은 Blois방법(Blois MS 1958)을 응용하여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에 대한

각 시료들을 3반복하여 전자공여능으로 측정하였다.


즉, 일정농도의 시료용액

(0.1 mg/mL, 0.15 mg/mL 및 0.2 mg/mL) 1 mL를

각각 취하여 0.1 mM DPPH 용액(absolute ethanol solution)

4 mL과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3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따로 무첨가구 시험을 하여

대조구의 흡광도를 같은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비교구로 ascorbic acid와 BHT를 이용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여

시료군과 비교하였다.


이들 측정값을

다음과 같은 계산식에 의해

DPPH 전자공여능을 계산하였다.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시료 무첨가구의 전자공여능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mg/mL)를 IC50값으로 나타냈다.

 


 

               

 

               A :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B : 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자생 엉겅퀴 잎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Extract



실험 목차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2. 실험 방법

  (1) 일반성분 분석

  (2)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3) 총페놀화합물 함량 측정

  (4)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5)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측정

  (6)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7)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능 측정

  (8)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측정

  (9)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일반성분

    2. 추출 수율

    3. 총페놀화합물&총플라보노이드 함량

    4.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5. 아질산염 소거능

    6.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능

    7.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측정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1. 실험재료


본 실험에서 일반성분 분석 및

생리적 활성을 측정을 위해

사용된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는

강원도 정선에서 채취하였고,

잎 부분만을 따로 분리하여 분쇄하여

40mesh에 통과시킨 후

-40℃에서 냉동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1) 일반성분 분석


일반성분은 AOAC법(A.O.A.C. 1995)에 따라 행하였다

즉, 수분은 105℃ 상압건조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단백은 semi micro Kjeldahl법(N x 6.25),

조회분은 550℃ 회화법

탄수화물은 100에서 수분, 조지방, 조단백, 조회분을

뺀 값으로 하였다. 



3) 메탄올 추출물 제조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를

99.5%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를

먼저 분쇄기(IKA M20, IKA, Germany)로 40 mesh로 조분쇄한 후

methanol을 가하여 3시간 침지, 여과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 2)로 여과하고

남은 잔사에 다시 용매를 가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3반복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이 추출물을 40±1oC에서

감압농축(rotary evaporator N-1000, EYELA, Japan)하여

80℃의 상압건조기(Dry oven HST-502M, Hanbaekst, Korea)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추출 수율의 측정은 추출에 사용한 시료의 건물에 대한

추출물의 총 고형분 함량의 백분비로 하였다.

제조된 메탄올 추출물 시료는

냉동실(-4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엉겅퀴속(Cirsium Miller)은

국화과(Asteraccac)의 국화아과(Asyeroideae)

엉겅퀴족(Cynareae) 엉겅퀴아족(Carduinae)에

속하는 식물군으로 전 세계적으로 250~300여 종이

한국, 중국, 일본, 만주, 러시아 그리고 대만 등의

북반구 온대지역을 비롯하여

북미, 유럽, 북아프리카 등에 분포한다


* 참고문헌

Song MJ 등 2007, Kim EM 등 2009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는

2년 초로 연한 줄기는 껍질을 벗겨서 생으로 먹거나 나물로 먹으며,

큰 엉겅퀴(Cirsium pendulum Fischer)는 다년초로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는 ‘곤드레’라고도 하며,

다년초로 산과 들판에 약간 그늘진 곳에 자라고

4~5월경 어린 순을 나물, 국, 볶음 등으로 먹는

우리나라 특산물의 하나이다


* 참고문헌

Lee YM 등 2008, Lim SS 등 1997a, Suh JT 등 1995




국내외 엉겅퀴 연구를 보면,

엉겅퀴속 식물은 생리활성이 뛰어난

apienin, luteolin, myricetin,  kaemferol, pectolinarin,

5,7-dihydroxy- 6,4'-dimethoxyflavone,

hispidulin-7-neo-hesperioside를 포함한

약 78종의 falvonoid가 확인되었으며,

apigenin은 암예방 효과 및 신경보호 효과,

항염증, 항진경 및 항균작용 등의

생리 활성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참고문헌

Chung MS 등 2007, Liu S 등 2006, Lee HK 등 2003,

Lee MK 등 2002, Lim SS 등 1997b




또한 엉겅퀴는 지질과산화를 억제하고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알코올 해독을 촉진시키므로 간 보호 작용이 있으며


*참고문헌

Park JC 등 2004




ICR 쥐에게 300mg/kg 투여 시 항우울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고문헌

Park HK 등 2006




고지혈증 시 혈청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고,

간장 내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등의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간 손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Lim SS 등 1997, Lim SS 등 1997a




엉겅퀴 꽃 추출물에서 apigenin, luteolin이 검출되었으며


*참고문헌

Kim SJ 2003




엉겅퀴 잎 추출물은

항류마티스성의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 참고문헌

Lee JH 등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엉겅퀴를 채취하고

잎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생리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연구하고

엉겅퀴를 이용한

천연항산화제 개발 및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