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SOD(supeoxide dismutase) 유사활성능 측정
생체에서 과산화지질의 형성물질로는
superoxide radical,
H2O2, hydroxy radical(HO·),
singlet oxygen(1O2) 등을 들 수 있으며,
보통산소에 비해 대단히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생체에서는
SOD(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 peroxidase 등의
효소계 항산화제와
tocopherol,
ascorbic acid,
propyl gallate,
selenium과 같은
비효소계 항산화제에 의해 소거된다
* 참고문헌
Mc Cord JM & Fridovich I 1969, Yang CT 2010
SOD는 생체내 항산화효소의 일종으로
세포내 활성산소를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SOD에 의해 생체내에 생성된 H₂O₂는
catalase나 peroxidase에 의해
물과 산소로 전환된다
* 참고문헌
Kim TS 등 2007
이러한 SOD와 똑같지는 않지만
유사활성 측정방법이 실험실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superoxide anion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
즉, SOD 유사활성 측정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어
이를 이용해 자생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Fig. 5와 같았다.
Fig.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생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생 엉겅퀴의 SOD 유사활성은
0.5 mg/mL에서 19.27%,
1.0 mg/mL에서 21.35%,
2.0 mg/mL에에서 25.00%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자생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생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농도의 증가정도에 비해서
SOD 유사활성의 증가정도는 적은 경향을 보였다.
Ascorbic acid의 경우
0.5 mg/mL의 농도에서도
BHT나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2 mg/mL의 농도보다도
훨씬 높은 SOD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Fig. 5. SOD-lik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a-i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in the bars between sampl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test. Values are mean±SD(n=3).
7.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측정
Fe2+은 체내에서
세포의 지질 및 단백질의 산화를 촉진한다.
Fe2+의 chelating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자생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로 측정결과,
Fig. 6과 같았다.
Ferrozine은 Fe2+와 complex를 형성하여
붉은색을 띠게 되는데
이 때 시료 중에
킬레이트 효과를 가진 물질이 존재하면
Fe2+-ferrozine complex 형성을 방해하여
발색이 저해된다
* 참고문헌
Kim EM & Won SI 2009
Fig.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생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0.5 mg/mL에서 23.05%,
1 mg/mL에서 44.77%,
2 mg/mL에서 84.3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Fig.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생 엉겅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효과가 증가하였으며,
EDTA 0.05 mg/mL 농도에서의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보다는 모두 낮았다.
Fig. 6.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leaf.
a-b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in the bars between sampl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test. Values are mean±SD(n=3).
'공돌이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N HCl 표준용액 조제 및 표정 서론 및 원리 (0) | 2018.06.08 |
---|---|
자생엉겅퀴 항산화실험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0) | 2018.06.07 |
자생엉겅퀴 DPPH 전자공여능 측정 및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결과 (0) | 2018.06.05 |
자생엉겅퀴 항산화실험결과 및 고찰 1 (0) | 2018.06.04 |
자생엉겅퀴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측정 및 통계처리 (0) | 2018.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