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바이처는 앞서

그리스도-신비주의를 언급한 이후

하나님 나라 믿음과

구속 믿음의 통일성을 언급한다.


종말론적 기대(하나님 나라의 도래)가

성취되지 않음으로 인해

그리스도인들은 커다란 문제를 안게 되었다.


이에 바울은 하나님 나라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지만

그리스도의 신비스러운

죽음과 부활을 통한 그의 공동을 통해

자연적인 세계 시간 안에서

하나님 나라 안에 있게 될

초지상적인 상태에 들어감으로써

구속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바울이 종말론적 세계관이라는 소재 안에서

생각하는 구속 표상이 가진

근본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복음적-원시 그리스도교적 믿음과

(구속이란 하나님 나라와 메시아의 도래 안에 존재한다는 믿음)

미래의 메시아로서의 예수에 대한 믿음 안에서


앞으로 도래할 나라를 끝까지 생각하되

자신이 처했던 시간적 제약성을

(바울의 시대에는 메시아의 도래가 없었으므로)

뛰어넘어 모든 시대에 대해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

표현양식을 바울이 생각해낸 것이라고

슈바이처는 말한다.


이러한 표현 양식이 바로

그리스도 신비주의이며 바울의 신비주의이다


바울의 신비주의 안에서

원시 그리스도교적 믿음은

동일한 것의 본질적인 것,

곧 그리스도에 의한 구속의 표상이

하나님 나라에 대한 살아있는

믿음과 맺고 있는 내적 결합을

모든 시대에서 믿음의 소유가 되도록

만들어주는 형태를 갖추게 된다


후에 그리스도교의 헬레니즘화로 인해

바울의 신비주의는 점점 상실되었으며

이로 인해 식어버린 믿음을

다시 활동시키기 위해서

종교개혁이 일어나기도 하였으나


가톨릭 교회, 개신교 교회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믿음과

그 믿음의 의지를 간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것들은 불완전하다고

슈바이처는 주장한다.


종교 개혁자들이 구속-경건을

일방적으로 회복하여

그리스도와 우리 시대를 위하여

봉사한다고 믿는 모방 신학은

참된 바울이 아니라

바울을 자신에게 맞게 각색한 것일 뿐이며

이것은 바울이 추구하고 가려던 길과는

다르다고 말한다.


바울이 말하는 것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살아 생동하는 믿음 안에서

그리스도에 의한 구속 믿음을

깊이 갖는 것을 말한다


때문에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 믿음과

하나님 나라 믿음을 함께 심화시키고

양자 가운데서 그 믿음이

더욱더 굳건하게 되기 위해

씨름해야 한다는 것이다.


원시 그리스도교적 믿음으로의

복귀는 불가능하겠지만

이러한 원시 그리스도교의 정신적 본질을

우리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하나님 나라에 대한

살아있는 믿음을 쟁취하고

이 믿음 안에서 우리를

그리스도에 의해 구속받은 자로

이해하는 정도만큼이라도

수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나님의 나라

메시아의 도래가

현실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패닉상태에 빠졌을 것이다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그 안에서의 우리를

한데 어우름으로써



바울은 그 시대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 시대에서도

하나님의 재림에 대한 타당성을

존속시켜주는 역할을 했다



하나님의 죽음과 부활을 믿고

하나님의 나라를 믿음으로써

하나님께 구속, 구원받았음을 믿는 것

그것이 바울의 신비주의라는 것을

슈바이처는 말하고 싶었던 것 같다




전편에 이어서 적는다



슈바이처는

바울이 말한 "생각함의 권리"를 옹호하고 주장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바울이 모든 시대의 그리스도교에

자신이 걸어가야만 하는 길을 지시해준다고 생각했다.


슈바이처는 우리가 그리스도와의 공동이라는 사상을

자신의 세계관 안에서 "생각하는 권리"를 가져야만 하며

이 "권리"를 통해

우리가 진실로 생동하는 정신적 진리의 심오함에

다가가는 노력을 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스도교는 그리스도-신비주의이며

이는 사상적인 인해와 체험 가운데서 실현된 신비주의

곧 우리의 주이신 그리스도와의 공동이라는 의미의

신비주의라고 말한다.


신-신비주의란 신(神)이나 절대자 등

궁극적 실재와의 직접적이고 내면적인 일치의 체험을

중시하는 철학이나 종교사상을 말하는데

그리스도-신비주의는 당연히 그 신이나 절대자가

그리스도를 칭한다고 보면 된다.


이런 신-신비주의 또는 그리스도-신비주의는

결국 신, 즉 그리스도와의 합일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불가능할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슈바이처는

신-신비주의는 인간 현존의 피동적 규정성만이

결과로 남게 되며, 신으로서의 상승은

무한자의 대양 속에 추락하는 것으로 끝난다고 말하면서

스토아주의¹, 스피노자², 인도사상³, 중국사상⁴ 등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신-신비주의가 이루어지려면

창조주의 의지에 대한 신적 사랑 의지의 대립을 거쳐

그 대립을 극복해야 하지만

인간의 사고는 영원 그 자체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영원한 것 안에서 가야 할 길을 알기 위해서는

이원론에 이를 수밖에 없으며

동시에 그것을 극복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그리스도-신비주의는

이러한 인식 불가능한 모든 것을

그대로 인식 불가능한 것으로 놓아둔다

사랑의 의지인 하나님에 대한 확신 가운데 살고자 하며

그 하나님 안에서 평화와 활동을 발견하는 길을 걸으면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슈바이처는 그리스도와의 공동 가운데서

우리에게 정해진 하나님과의 공동이

실현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스도-신비주의는 하나님의 자녀 됨을 말하며

이는 하나님과 같이 되는 것이 아닌

하나님과 공동 안에서 실현되는 것으로 본다.


이 부분 정말 어렵다

말이 너무 어렵다

그리스도-신비주의는 신과의 합일이 아니라

공동의 개념을 가지고 있음에 반해

슈바이처가 언급한 사상들은

비우거나 신을 자연이나 우주와 같은 것을 보고

이를 이해하려고 하려는 사상을 가지고 있어

의미가 없다고 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부분은 아직도 정확하게 이해가 가질 않는다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이 글을 보게 되는 사람이 답글을 주면

정말 고마울 것 같다




1) 스토아주의

세계는 정신과 물질로 이루어졌고

이것은 궁극적 실재의 서로 다른 면이라 주장함

최고선은 덕(德)이며, 

죄와 악의 근원은 무지와 이성의 결핍이라고 보았다



인생의 궁극적 목적을 최고선으로 두었으며

행복은 모든 욕망을 끊어버리고

어떤 것에 의해서도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

부동심의 경지에 있다고 보았다.

이런 생각은 욕정을 억제하는 생활로 이어졌다



2) 스피노자

신은 모든 자연 안에 머문다고 하는 범신론을 강조했다

때문에 무신론자나 이단의 대명사로 취급받기도 하였다

자연은 필연적으로 결정되어 운행되는데

여기서 진정한 자유란 이성을 통하여

자연의 필연적 법칙을 인식하고

자연과 하나가 됨으로써 마음의 평화를 얻는다고 보았다



3) 인도사상

범심론적이고 영혼불멸론적인 내세관.

윤회전생의 사상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4) 중국사상

중국사상은 현실주의적 사상이라고 볼 수 있다.

형이상학적 사고가 없지는 않지만

그 형의상의 세계를 분별하는 철학으로는 부족하다

주로 도덕과 정치를 중심으로 하여

현실과 밀착된 형태의 사고가 주를 이룬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