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바이처는

그리스적 그리스도교 교리

카톨릭 교회의 교리

개신교 교리


이 모든 교리가

바울의 복음을 간직하지만

바울과 같이 예수의 복음을

계속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대체하는 이해의 틀 안에서

간직하고 있고

이것은 치명적이라고 말한다.


예수의 복음 계속은

오직 순수한 원시 그리스도교적-종말론적

바울주의라고 일축한다.


이러한 바울주의가 예수의 죽음 이후 시기에

적합한 형태로 나타난 예수의 복음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예수냐 바울이냐 라는 질문은

바울이 예수의 복음을

반복하지 않기 때문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후에 바울주의와 예수의 복음이

대립 관계에 들어가게 됨으로서

순수하지 못한 바울인

동방 그리스도교와

불완전한 바울인

서방 그리스도교로 나뉘며


이로 인해 하나님-나라-경건이

구속-경건에 의해 억제되게 되었다.


개신교과 다시

하나님-나라-경건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기존의 카톨릭적-바울적 구속론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해 노력했지만

창의에 관한 바울적 가르침이라는

협로에 빠져들게 된다.


더 나아가서 개신교에서 대두되는

하나님-나라-믿음은

바울적으로 규정된 구속론과

자신을 결합시키지 못하고

필연적으로 바울의 복음을

예수의 복음으로 밀쳐 버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런 문제는

그리스도와의 공동이라는

바울의 신비주의가 해결해줄 수 있다.


예수의 복음 자체가

하나님 나라의 단순한 전파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 획득을 약속하며

주어진 구속을

예수와의 공동 가운데 있는 자들에게

약속하는 것이다.


예수의 복음은

이런 바울의 신비주의적 구속 가르침 속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같은 방식으로 바울의 윤리 안에는

예수의 복음 윤리가

그 생명을 지속시키고 있다.


예수의 윤리는 바울에게 있어

예수와의 공동 가운데서

체험하게 되는 하나님 나라의

존재 양식 안으로의

구속된 존재의 윤리가 된다.


바울의 윤리는

종말론적 기대 의존성에서 벗어나

그리스도와 함께

나라의 실현이 시작되었다는

확신과 결합한다.


슈바이처는 바울의 사고가 지닌

위력을 세 가지로 말하고 있다.


1. 바울의 사고가 지니는 깊이가 매우 깊고

   높은 사실성을 지니고 있다.

2. 원시 그리스도교적 믿음의 불이

   바울에게서 타오르고 우리의 믿음 속으로

   옮겨 붇는다

3. 그리스도에게서 갖게 되는 체험이

   바울에게서 우러나오며

   우리를 동일한 체험의 길로 낚아챈다.


바울은 우리를

구속의 사실적인 길로 이끌어간다.


바울은 우리를

그리스도에게 넘겨준다.


슈바이처가 원래 이렇게 쓴건지

번역이 너무 어렵게 된건지

사실 알아듣기가 힘든게 사실이다.

한글이 맞나.. 싶을정도로..


내 나름으로 정리하자면

바울 생전에는 "창의적"으로

예수의 복음을 계속해왔다.


바울의 사고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예수의 복음이 살아 움직이면서

태동할 수 있도록 가능하게 했지만


바울의 죽음 이후

이것을 계속할 만한 (바울만한)

존재의 부재로 인해

불완전하고 순수하지 못한

교리들이 생겨난 것이 아닐까 한다.


이를 통해

다시금 사도바울이 말한

사상가의 존재의 중요성이 생각났다.


본래 바울은 하나님-나라-경건을 말했지만

어느새 하나님과 나라는 빠지고

(부활 승천 나라에 대한 믿음은 제외되고)

단순히 구속과 경건만이 남아버렸음을

슈바이처는 경고하고 싶었던 것 같다.


모든 교리들이 지닌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바울 본래의 윤리와 복음 뿐이라고

슈바이처는 생각하고 있으며


바울의 사고의 위력 3가지를 말하며

여러 학파, 교리들에 대해 깨달음을

촉구하고 싶었으리라 생각된다.





바울은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부활한다는 사상을

하나님 나라에 대한 믿음 안에

가지고 있다.


전에 말했듯

죽음과 부활을 믿고

하나님의 나라를 믿음으로서

구속과 구원을 받았다는 것이

바울의 신비주의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울은

우리가 자연적인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그리스도와 함께 죽는다는 것이

우리 안에서 현실이 되어 있는 경우에만

그리스도의 영을 소유할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이것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진실이라 믿어야 한다는 것이다.

믿음으로써 현실이 되고

그리스도의 영을 소유하며

이것이 바로 바울이 생각하는

그리스도-신비주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바울의 영에 관한 가르침은

바울 자신이 속한 당시의 세계관과

현재 우리의 세계관을 이어주는

교두보 역할을 해준다


하나님의 나라가 도래하지 않음으로

생겨났던 문제를 해결했고

그 해결책은 우리의 현재

나아가 앞으로의 미래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통하기 때문이다.


바울은 성령을

초지상적인 것들의 모든 광채가

지상적인 것 안에서 가시화되는 것으로 이해하며

이 광채들을 광도(밝음의 정도)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들이 펼치는 영향력에 따라 평가한다.


눈에 띄지 않는 영의 윤리적 입증을

최고로 내세우며,

사랑을 영원한 것 그 자체가

시간적인 것 안에서

현실이 되는 은사로 인식한다


마지막으로 슈바이처는

예수의 복음과 바울의 복음에 대하여 언급한다


슈바이처는 바울의 하나님-나라-경건 안에서

우리의 경건히 새롭게 되어야 하며

하나님-나라-일 없이는

모든 것이 헛된 일이라고 주장한다.


죽음과 부활을 믿음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믿음

이 두 가지가 먼저 선행된 뒤

우리의 경건과 행동과 생각이

있어야 한다는 것 같다.


바울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믿음이

그 나라의 실현을 어떤 조치로부터

기대할 것이 아니라


즉, 하나님의 나라가

현실로 나타나는 것만을 기대하고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의 지배로부터

기대해야 한다고 한다.


예수인가? 바울인가

혹은

예수와 바울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슈바이처는


바울이 복음을 예수의 말로 반복하거나

예수의 복음을 하나의 증인으로

끌어들이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복음을 무효화시키는 것이 아니며


다만, 바울은 의미에 맞게

예수의 복음을 계속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예수의 죽음 이후의 시기에

그리스도교적 믿음이

부딪힐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바울이 하나님 나라에 관한 복음을

예수 자신이 설파한 그대로

반복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사도바울의 신비주의에 대해

첫 글에 적었듯

바울은 사상가가 필요하다고 했다.


바울은 그 사상가의 역할을

정확하고 제대로 해냈고

그리스도교가 현재 지금까지

살아있는 진리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바울의 사고에 대한 놀라움이 생길 뿐이다.

성경에 써진 글로는

바울이 해낸 일의 중요성이나

그 대단함을 다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과거 현재 미래까지 영원토록

그리스도교가 이어지게 만든 인물이

바로 바울이라 생각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