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액 제조법>






1) 0.1N NaOH 용액

저울에 유산지를 대고 그 위에 NaOH 2.15g을 올려 잰 후에

용량플라스크에 담는다.

이 때, 정확히 2.15g을 재서 만들 수 없으므로

가장 가깝게 재서 만든다.


 NaOH는 산소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유산지에 붙을 수 있으므로

떼어지지 않는 NaOH는

증류수를 부어가면서 넣도록 한다.


NaOH를 넣고 증류수를 용량플라스크에

약 ⅓정도 채운후 흔들어서 녹인다.

녹인 후 용량플라스크의 선 밑까지

증류수를 넣고 다시 한번 섞어준다.

마지막으로 증류수를 용량플라스크 목부분에 따라

흘러갈 수 있도록 흘려주면서 선을 맞춘다

   





2) 0.1%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지시약은 반응이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매우 정확히 맞출 필요가 없으므로

만지기 쉬운 매스플라스크와 삼각플라스크를 이용해서 만든다.


매스플라스크에 에탄올 70mL를 넣는다.

후에 페놀프탈레인을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에탄올을 조금 넣은 후 섞어서 흔들어주고,

나머지를 다 넣는다.


매스플라스크에 물 30mL를 넣고

삼각플라스크에 넣어준다

물과 에탄올은 밀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두 용액을 섞어서 넣게 되면 100mL가 안되므로

따로따로 넣어서 삼각플라스크로 옮긴다.






3) 0.1N 옥살산용액

옥살산 3.152g을 증류수 500mL에 녹인다.

이 때 만드는 과정은 NaOH와 동일한데,

이 때도 옥살산의 무게를 정확히 재지 않고

가장 근사치로 측정해서 사용한 후에

역가를 구한다.






<실험(조작)방법>


 1). 0.1N 옥살산용액 20mL, 0.1%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2~3방울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는다. 피펫으로 잰 후에

    용량플라스크에 넣어 20mL를 넣고,

    스포이드로 지시약을 넣는다.

 

 2). 뷰렛에 0.1N NaOH용액을 채운다.

    용량플라스크에 들어있는 NaOH용액을

    뷰렛으로 옮길 때 깔대기를 사용하여 옮긴다.


 3). 0.1N NaOH 표준용액을 적정한다

    (무색에서 미홍색으로 되는 점이 종말점임)

    뷰렛을 이용하여 조금씩 흘려보낸다.

    또한 한손으로는 유리코크를 만지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라스크를 계속해서 저어준다.



 4). 0.1N NaOH 용액의 역가를 계산한다


    NaOH의 역가

    0.1N 옥살산의 역가 × 사용된 0.1N 옥살산의 mL수 / 소모된 0.1N NaOH 용액의 mL수


 5) 라벨링을 한다


이 과정을 세 번 반복한다.




<실험결과>


  1) 실험 시 옥살산의 무게는 3.143g이었으며, 역가는 0.9971이다

     옥살산의 역가

     옥살산채취량/옥살산 이론치 = 3.143/3.152 = 0.9971g


  2) 이론적으로는 옥살산용액 20mL와 NaOH용액 20mL가 반응해야하지만

     각각 21mL, 21.2mL, 19.55mL의 NaOH용액이 소모되었다.

       


 소모된 NaOH 용액의 ml수

역가 

 21.00

0.94962 

 21.20

0.94066 

 19.55

1.02005 



1번 역가 - 0.9971×20/21 = 0.94961

2번 역가 - 0.9971×20/21.2 = 0.94066

3번 역가 - 0.9971×20/19.55 = 1.02266


평균역가 1+2+3/3 = 0.97097





<서론>

실험의 목적은 적정에 사용하는 시약의 농도를

정확하게 정하여 표준액으로 사용하고,

그 용액과 다른 표준물질과의 농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간단히 말해서 표준용액의 조제 및 표정이다.

표정이란 농도를 정확히 아는 물질,

즉 표준용액을 조제하여 농도를 정확히 맞추는 것을 말한다.


표준용액은 용량분석에 쓰이는 기지농도의 시약용액으로서

그 목적이 목적이니만큼 반드시 농도가 정확히 알려져 있어야한다.

표준용액은 모든 부피분석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부피분석이란?

- 정량하고자 하는 물질의 부피 또는 그것과 당량인 다른 물질의

  부피를 측정하는 정량분석법이다.

  정량하고자 하는 물질의 용액과,

  그 물질과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을 선택하여

  농도를 이미 아는 용액으로 만든 것을 준비하고,

  한쪽은 뷰렛, 다른 쪽은 비커에 취하여 적정하는 방법이다.



- 표준용액의 이상적인 조건은

   (1). 단 한번 농도를 측정해도 좋을 만큼 충분히 안정적이어야 한다.

   (2). 적정액을 첨가할 때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석물과 빠르게 반응해야한다.

   (3). 만족한 종말점을 얻기 위해 분석물과 완전히 반응해야한다.

   (4). 간단한 균형반응식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분석물과 선택적으로 반응해야 한다



- 역가

어떤 농도의 용액을 조제하다 보면

각 과정마다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서

아무리 주의를 기울여도 용액의 농도는 정확할 수가 없다

때문에 용액의 농도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용액들은

반드시 그 용액이 얼마나 정확하게 만들어 졌는지를

확인한 후에 실험에 이용해야 한다.


이 때 얼마나 정확하게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는 것을 그 용액의 역가를 측정한다고한다.

정확하게 만들어진 용량의 역가는 1,

정량보다 용질이 적게들어간 용액은 1보다 적게,

정량보다 용질이 많이 들어간 용액은 1보다 크다.







<원리>


0.1N NaOH 표준용액과

0.1N 옥살산용액이 반응하여

옥살산나트륨염과 물이

생겨나는 산·염기반응


HCO2HO + 2NaOH ----> NaCO+ 4HO

                                                                       옥살산                     옥살산나트륨염

 






<실험방법>


0.1N NaOH용액,

0.1%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0.1N 옥살산용액이 필요하다



시료와 기구 및 장치


필요한 시료

NaOH(분자량40, 순도93%) 2.15g,

에탄올70mL,

증류수,

페놀프탈레인(C20H14O4) 0.1g,

옥살산(HCO· H0, 2당량, 분자량 126.08) 3.152g



필요한 기구 및 장치

뷰렛, 뷰렛스탠드, 피펫, 필러,

삼각플라스크 4(100mL, 250mL), 전자저울,

매스플라스크 1, 용량플라스크(500mL) 2,

스포이드, 깔대기, 시약스픈




페놀프탈레인    옥살산    삼각대와 삼각플라스크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전자저울    증류수

에탄올    수산화나트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