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실험의 목적은 적정에 사용하는 시약의 농도를

정확하게 정하여 표준액으로 사용하고,

그 용액과 다른 표준물질과의 농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간단히 말해서 표준용액의 조제 및 표정이다.

표정이란 농도를 정확히 아는 물질,

즉 표준용액을 조제하여 농도를 정확히 맞추는 것을 말한다.


표준용액은 용량분석에 쓰이는 기지농도의 시약용액으로서

그 목적이 목적이니만큼 반드시 농도가 정확히 알려져 있어야한다.

표준용액은 모든 부피분석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부피분석이란?

- 정량하고자 하는 물질의 부피 또는 그것과 당량인 다른 물질의

  부피를 측정하는 정량분석법이다.

  정량하고자 하는 물질의 용액과,

  그 물질과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을 선택하여

  농도를 이미 아는 용액으로 만든 것을 준비하고,

  한쪽은 뷰렛, 다른 쪽은 비커에 취하여 적정하는 방법이다.



- 표준용액의 이상적인 조건은

   (1). 단 한번 농도를 측정해도 좋을 만큼 충분히 안정적이어야 한다.

   (2). 적정액을 첨가할 때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석물과 빠르게 반응해야한다.

   (3). 만족한 종말점을 얻기 위해 분석물과 완전히 반응해야한다.

   (4). 간단한 균형반응식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분석물과 선택적으로 반응해야 한다



- 역가

어떤 농도의 용액을 조제하다 보면

각 과정마다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서

아무리 주의를 기울여도 용액의 농도는 정확할 수가 없다

때문에 용액의 농도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용액들은

반드시 그 용액이 얼마나 정확하게 만들어 졌는지를

확인한 후에 실험에 이용해야 한다.


이 때 얼마나 정확하게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는 것을 그 용액의 역가를 측정한다고한다.

정확하게 만들어진 용량의 역가는 1,

정량보다 용질이 적게들어간 용액은 1보다 적게,

정량보다 용질이 많이 들어간 용액은 1보다 크다.







<원리>


0.1N NaOH 표준용액과

0.1N 옥살산용액이 반응하여

옥살산나트륨염과 물이

생겨나는 산·염기반응


HCO2HO + 2NaOH ----> NaCO+ 4HO

                                                                       옥살산                     옥살산나트륨염

 






<실험방법>


0.1N NaOH용액,

0.1%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0.1N 옥살산용액이 필요하다



시료와 기구 및 장치


필요한 시료

NaOH(분자량40, 순도93%) 2.15g,

에탄올70mL,

증류수,

페놀프탈레인(C20H14O4) 0.1g,

옥살산(HCO· H0, 2당량, 분자량 126.08) 3.152g



필요한 기구 및 장치

뷰렛, 뷰렛스탠드, 피펫, 필러,

삼각플라스크 4(100mL, 250mL), 전자저울,

매스플라스크 1, 용량플라스크(500mL) 2,

스포이드, 깔대기, 시약스픈




페놀프탈레인    옥살산    삼각대와 삼각플라스크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전자저울    증류수

에탄올    수산화나트륨






0.1N HCl 표준용액 조제 및 표정



<실험(조작)방법>


 1). 0.1N 탄산나트륨용액 20mL, 0.1% 메틸오렌지 지시약 2~3방울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는다. 탄산나트륨은 피펫으로 20mL를 측정하여 넣고

    메틸오렌지 지시약은 스포이드를 사용한다.

 


 2). 뷰렛에 0.1N 염산용액을 채운다.

    용량플라스크에 들어있는 염산용액을 뷰렛으로 옮길 때 깔대기를 사용하여 옮긴다.

    흘리지 않게 조심하고 흘렸거나 피부에 묻었을 때는 피부를 물로 씻어준다



 3). 0.1N 염산 표준용액을 적정한다(황색에서 적색으로 되는 점이 1차 종말점임)

    뷰렛을 이용하여 조금씩 흘려보낸다. 또한 한손으로는 유리코크를 만지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라스크를 계속해서 저어준다. 1차 종말점을 찾으면

    사용된 염산 표준용액의 양을 적어논다.



 4). 1차 종말점을 찾아 색이 변한 샘플을 핫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가열한다.

    가열 하는 이유는 반응식에도 나오지만 이산화탄소가 반응액에서 약산인

    탄산형태로 존재하여 반응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약 2~3분정도 가열 후에 수돗물로 식혀준다.

    


  5) 가열시키고 식히게 되면 다시 샘플이 다시 황색으로 변해있다.

    샘플에 다시 HCl 표준용액을 뷰렛을 이용하여 적정한다.(2차 종말점을 찾는다)

     가열해도 주황색이 될 때 까지 적정한다.

     


  6 )0.1N 염산 용액의 역가를 계산한다

     염산의 역가

    0.1N탄산나트륨의역가 × 사용된 0.1N 탄산나트륨mL수 / 소모된 0.1N 염산용액의 mL수

 


이 과정을 세 번 반복한다.





<실험결과>


  1) 실험 시 탄산나트륨의 무게는 2.6651g이었으며, 역가는 1.0057이다

     탄산나트륨의 역가

     탄산나트륨채취량/탄산나트륨이론치 = 2.6651/2.64975 = 1.0057g



  2) 이론적으로는 옥살산용액 20mL와 NaOH용액 20mL가 반응해야하지만

     각각 26.13(24.95+1.18)mL, 24.13(23.68++0.45)mL, 24.80(24.60+0.20)mL의

     염산용액이 소모되었다.



사용된 0.1N HCl

표준용액(1차) 

 사용된 0.1N HCl

표준용액(2차) 

 총 사용된

염산 표준용액

역가 

 24.95

1.18 

26.13 

0.77 

 23.68

0.45 

24.13 

0.83 

 24.60

0.20 

24.80 

0.80 






+ Recent posts